트럼프 멕시코, 캐나다 25% 관세, 중국 20% 상향 3월 4일 발효

멕시코, 캐나다 25% 한달 유예 끝, 중국 추가 관세 2배 높여

단기적 가격인상 불가피, 장기적 물가급등 아니면 경기둔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달간 연기했던 멕시코와 캐나다 수입산에 대한 25% 관세와 중국산의 추가관세는 20%로 올려 3월 4일부터 발효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관세는 3월 4일에 이어 4월 2일에는 자동차, 반도체, 제약으로 이어지고 상호관세도 발표 될 예정이어서 미국경제에도 본격 여파를 미칠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가차없는 관세 압박이 더 강해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7일 한달간 연기했던 멕시코와 캐나다 수입산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예정 대로 3월 4일자로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중국산에 대한 추가 관세 10%는 20%로 올려 역시 3월 4일부터 부과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직도 펜타닐을 비롯한 마약들이 용납할 수 없는 수준으로 멕시코와 캐나다 를 통해 미국에 들어오고 있으며 중국은 이를 제조 배포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관세 강행이유를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2월 4일부터 단행하려다가 멕시코가 1만명의 병력 국경배지를, 캐나다는

펜타닐 총수 임명과 기존의 국경강화방안 시행을 약속하자 한달간 전격 연기한 바 있다

반면 중국산에 대한 추가 10%와 중국의 10~15% 보복관세는 2월 4일과 10일부터 이미 적용되고

있으나 트럼프 대통령을 추가 관세율을 10%에서 20%로 두배 올리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를 통한 불법입국 체포자들이 90%이상 급감했으나 펜타닐 등 마약 유입은 여전하다고 판단하고 3대 교역국들에 대한 관세 압박을 재개한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3월 4일부터 부과되는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중국산에 대한 추가 20% 관세는 펜타닐 등 마약의 미국유입이 중단되거나 상당폭으로 줄어들 때까지 지속될 것 이라고 경고했다

다만 1차 때와 마찬가지로 멕시코와 캐나다 정상들이 추가 조치를 취하고 나서고 트럼프 대통령 이 전격 재연기할 가능성은 아직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3대 교역국들에 대한 관세부과를 3월 4일부터 단행하면 미국에서 수입품 가격이 얼마나 올라가고 전반적인 물가인상, 인플레이션을 다시 악화시킬지 본격 시험대에 오르게

된다

미국은 최대 수입국인 멕시코로부터 한해 4750억달러 어치를 수입해 오고 있는데 25%를 부과하면 관세수입이 생기지만 농산물과 자동차 등의 미국내 가격이 크게 오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3위 수입국인 캐나다로부터 들어오는 쇠고기와 돼지고기 등 육류, 목재, 석유 등 4200억  달러 어치에 대한 미국의 관세 25% 부과와 캐나다의 1050억달러에 미국산에 대한 보복관세 25% 부과로 가격인상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의 공언대로 미국민들이 단기적인 고통을 느끼겠지만 인플레이션이 악화되지는

않을 수도 있으나 이는 수입감소, 소비지출 위축에 따른 것으로 물가급등을 피하는 대신 경기

침체에 빠질 수도 있다는 경고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