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증가 7월 7만 3천에 불과 5월과 6월 대폭 하향조정 25만 8천개 축소
관세여파, 불법체류자 체포추방작전, 연방공무원 해고 등으로 고용 냉각
미국의 고용시장에서 일자리 증가가 5월과 6월에 2만명 아래로 이미 급감한데 이어 7월에도 7만 3000 명에 그쳐 석달 연속 급속 냉각된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여파와 이민단속, 연방해고라는 3연타에 직격탄을 맞아 미국경제의 버팀목인 일자리, 고용시장이 크게 흔들리고 있는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미국경제의 버팀목으로 꼽히는 고용시장에 적색 경고등이 켜지고 있다
미국의 고용시장이 관세여파와 이민단속, 연방해고라는 3연타에 직격탄을 맞고 있기 때문인 듯 이미
석달 연속 급속 냉각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7월 실업률은 4.2%로 0.1 포인트 올라갔다고 연방 노동부가 1일 발표했다
특히 7월 한달 동안 일자리 증가는 7만 3000개에 그친 것으로 연방 노동부는 밝혔다
더욱이 5월과 6월의 일자리 증가가 당초 발표보다 두달 합해 25만 8000개나 줄어들어 급속 냉각이 이미 석달 연속 벌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의 일자리 증가는 5월 12만 5000개로 발표됐으나 이번에 고작 1만 9000개로 10만개 이상 대폭 줄어들었다
6월에는 당초 14만 7000개로 발표됐지만 이번에 1만 4000개로 역시 10만개 이상 급감했다
이에따라 미국경제의 버팀목으로 꼽히는 고용시장의 일자리 증가는 이미 5월과 6월 2만개 아래로 급락
했다가 7월에도 10만개 이하에 머무는 급속 냉각이 석달 연속 전개된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경제에서 한달에 10만개 아래로 일자리를 증가시키면 실업률이 높아지고 일자리 불안이 심해져
미국민들이 돈을 쓸수 없어 지갑을 닫게 되고 소비지출이 70%나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불경기로 추락 하게 된다
미국의 고용시장이 석달전부터 급속 냉각된 것으로 관세여파와 불법체류자 체포추방작전, 연방공무원
해고 등 3연타에 직격탄을 맞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7월 업종별 고용상황을 보면 생산분야의 제조업종에서 1만 1000명이나 줄였다
불법체류자 체포추방작전의 여파로 볼수 있는 식품 제조에서 2100명, 음료생산에서 3500명을 감원했다
최근에 재개된 연방 공무원 해고로 7월에도 연방에서 1만 2000명을 줄였다
불법체류자들이 많이 일하고 있는 건설현장과 농장, 식품 가공 공장, 호텔 식당 등에서 아직 무더기 감원 이 기록되지 않고 있으나 대거 잠적하고 있기 때문인 듯 일자리를 구하는 노동력 인구에선 7월에도 8만
6000명이나 급감해 노동참여율이 62.2%로 2022년 11월이래 최저를 기록했다
USA 투데이는 현재 이민구치시설에 구금돼 있는 외국인들이 5만 6000명에 달하고 추방 20만명에다가 자진 출국 10만명을 포함해 외국인 노동인구가 트럼프 2기 첫 4개월 동안 100만명이상 급감했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