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관세 46%에서 20%로 반감, 우회수출 환적은 40%
한국산 관세율 25%도 낮아질지 예의주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번째 많은 무역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베트남과의 관세무역 협상을 타결했다 고 발표했다
베트남산 미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20%로 정해 당초의 46%에서 대폭 낮춤에 따라 한국의 25%도 낮아 질지 주목되고 있다
상호관세 90일 유예가 7월 8일 끝남에 따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각국과의 관세무역 협상 마무리를
서두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 “미국과 베트남이 관세무역 협상을 타결했다”고 발표했다
양측이 타결한 결과 베트남산 미국 수입품에 대한 새 관세율은 20%로 결정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당초 4월 2일 발표에서는 베트남산에 대한 관세율을 46%로 공표했는데 이번 협상으로
절반 이하인 20%로 낮춘 것이다
다만 베트남이 다른 국가로부터 받아 생산해 미국에 수출하는 우회수출, 환적에 대해선 관세를 40% 부과 하기로 합의했다
베트남을 우회하는 환적 수출은 주로 중국이 이용해왔으며 한국도 해당돼 앞으로 이를 수정해야 할 것 으로 보인다
베트남은 지난한해 미국과의 교역에서 네번째로 많은 1000억달러 이상의 흑자를 기록해 한국의 668억 달러, 일본의 685억달러 보다 많았다
이 때문에 트럼프 행정부가 이번에 영국, 중국에 이어 베트남과 관세무역협상을 타결지은 것으로 해석 된다
이번 베트남산 미국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이 당초 46%에서 20%로 반감됨에 따라 한국과 일본 등 다른 아시아 동맹국들의 관세율도 낮아질지 주목되고 있다
4월 2일 발표된 상호관세율은 한국 25%, 일본24%였다
한국산의 미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 25%는 무역적자를 줄이기 위해 다소 무리하게 계산된데다가 한국 이 미국 투자 플랜 등을 제시해와 절반 이하로 낮아질지 예의주시 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다소 무리하게 높은 관세율을 제기해 놓고 관세무역 협상을 벌여 다른 투자나 미국산 구매 확대를 얻어내면 관세율을 낮추는 협상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에도 캐나다와의 협상 종료를 선언했다가 재개했고 일본에는 관세율을 35%로
올릴 수 있다고 경고해 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