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멕시코, 캐나다 25% 관세 4월 2일까지 한달간 전격 연기

1차에 이어 2차 관세 부과도 발효일 지나 전격 한달 유예

USMCA 자유무역협정 준수 품목들은 관세 한달간 면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다시한번 4월 2일까지 한달간 전격 연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관세 한달간 유예에 이어 자유무역협정에 적용되는 대다수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4월 2일까지 연기하는 조치를 취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 캐나다와 벌이는 관세전쟁에서 대다수 수입품에 대한 25%의   관세부과를 다시한번 한달간 연기하는 조치를 취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 “멕시코의 클라우디아 세인바움 대통령과 통화한 후에 USMCA 자유무역  협정에 적용되는 모든 수입품에 대한 관세부과를 4월 2일까지 연기하기로 동의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세인바움 멕시코 대통령과는 매우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국경에서 불법입국과 펜타닐 등 불법마약을 저지하는데 열심히 협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과 캐나다 관리들도 관세 예외 조치를 논의해 멕시코와 같이 3국간 자유무역협정인 USMCA  에 적용되는 대다수 품목에 대한 관세를 4월 2일까지 연기할 것으로 보인다

하루 앞서 백악관은 멕시코와 캐나다로부터 3국간 자유무역협정에 의해 생산돼 미국에 들어오는 모든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를 한달간 유예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월 4일 1차 발효일에도 직전 한달간 전격 연기시킨데 이어 이번에는 3월 4일

발효일 이틀정도 넘기고 다시한번 한달 연기시킨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멕시코 국경에서 붙잡히는 불법입국 시도자들이 93%나 급감하고 멕시코가

마약 카르텔 총수를 넘기는 등 성의를 보임에 따라 불법입국과 불법마약 차단이라는 두가지 요건 에서 진전을 이루고 있다고 판단하고 연기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압박을 마지막 순간 완화시키고 있는 주된 이유는 불법입국과 불법마약 차단이라는목표에서 소정의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은 물론 미국내 가격상승과 소비위축, 경기침체 로 악화될 수 있다는 업계의 경고를 받아들인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3대 교역국들에 대한 관세 부과를 단행하자 미국민 생활, 미국경제에도 직격탄을 가할 것이란 경고가 잇따라 나왔다

트럼프 관세부과가 지속된다면 미국민 가정은 올한해 가구당 1600달러에서 2000달러를 더 쓰거나 씀씀이를 줄이게 될 것으로 예일대 버짓 랩이 계산했다

휘발유 가격부터 갤런당 20 센트 정도 오르기 시작하고 멕시코에서 들어오는 과일채소, 맥주와 증류주, 캐나다로부터 수입해오는 육류와 곡물, 메이플 시럽, 위스키 등 일일 농산물이 2~3%씩 오를 것으로 예고됐다

중국에서 주로 들어오는 스마트폰과 랩톱 컴퓨터 등 전자제품과 가전제품은 11% 인상될 것으로 추산됐다

특히 가장 고가인 자동차의 경우 25%의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내 자동차 가격이 최소 4000달러, 최대 1만 2200달러나 급등하게 될 것으로 앤더슨 경제 그룹이 경고했다

더욱이 자동차 가격이 급등하면 미국민 소비자들이 차구입을 미루거나 포기해 자동차 판매가 급감하고 자동차 제조에서 판매 딜러십, 서비스와 할부 금융, 보험에 이르기 까지 광범위한 분야에

치명타를 가하게 될 것으로 지적돼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