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미국경제 ‘강한 출발, 트럼프 와일드 카드로 불안 위험’

연준 예상 성장률 2.1%로 둔화, 물가 2.5%로 상승, 금리인하 2번으로 축소

트럼프 추방작전으로 비용, 가격, 물가 상승, 관세부과시 가격급등 물가흔들

2025년 새해 미국경제는 전년의 호성적으로 강하게 출발하지만 트럼프 와일드 카드로 활황이냐 불황이냐가 판가름날 위험을 겪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불법이민자 추방작전과 모든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가 고질적인 병폐를 고칠 수 있으나 물가를 최소 1% 올리고 성장은 0.5% 낮출 것으로 경고되고 있다

2025년 새해 미국경제는 비교적 강력함을 유지하며 출발하지만 두가지 트럼프 와일드 카드인  불법 이민자 추방작전과 관세카드로 미국내 가격상승에 따른 물가불안, 상대국 보복 등으로 역풍을 맞을 수 있어 중대기로에 설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는 2025년 미국경제가 강력한 출발을 하겠지만 전년보다는 성장둔화, 물가불안, 금리인하 지연을 겪을 것으로 예측해 놓고 있다

2025년 새해 미국경제 성장률은 전년도 2.5%에서 2.1%로 둔화되고 실업률은 4.2%에서 4.3%로, 물가는 2.4%에서 2.5%로 각각 올라가 기준금리인하 횟수는 당초 4번에서 2번으로 반감될 것으로 연준은 예고해 놓고 있다

2.1%의 GDP 성장률과 4.3%의 실업률은 미국경제가 2025년 한해 불경기는 없을 것이지만 전년 보다는 둔화를 체감하게 될 것으로 의미하고 있다

이와함께 연준의 2% 목표보다 한층 높은 2.5%의 PCE 물가와 기대와는 달리 3.9%나 되는 고금리 고통을 새해 내내 겪게 될 것임을 경고해 주고 있다

특히 1월 20일 47대 대통령으로 취임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두가지 와일드 카드가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는 있으나 미국 경제에 직격탄을 가할 수 있어 불안감을 안겨주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두가지 와일드 카드 중 하나는 미국사상 최대규모의 추방작전으로 첫해 불법  이민자 150만명 이상을 추적체포해 추방하려 하고 있다

사상 최대 규모의 추방작전을 펴게 되면 2000만명이 넘는 미국내 장기 불법체류자들을 추적체포해 첫해 100만명을 추방하는데 880억달러나 비용이 들고 GDP가 1조 7000억달러나 날아갈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830만 불법노동자들이 몰려 있는 농장, 건설현장, 식당호텔, 청소, 조경, 각종 서비스 직종에서

대대적인 이민단속이 시작됐다는 소리만으로 서류미비자들이 대거 잠적해 심각한 경제피해를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3D 업종에서 극심한 인력난을 겪고 임금상승과 가격상승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으며

잠적한 이들이 돈을 쓰기 어려워져 소비도 위축될 것이므로 수요와 공급에서 동시에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사상최대 규모의 추방작전 만으로도 미국의 소비자 물가를 1% 더 올리게 되고 불법 노동자들로

부터 받아온 정부세입은 연 1000억달러에서 급감할 될 것으로 경고되고 있다

또다른 와일드 카드는 관세 부과인데 이웃이자 최대 교역국들인 멕시코와 캐나다에는 불법입국 과 불법마약의 미국유입을 막아야 한다는 조건을 내걸고 차단하지 못하면 25%의 관세를, 중국산 에는 10%의 추가 관세를 물리겠다고 경고해 놓고 있다

한국과 일본, 유럽연합 등을 포함한 모든 미국 수입품 3조달러 어치에도 10~20%의 관세를 부과 하겠다고 예고해 놓고 있다

관세를 물게 되는 미국 수입회사들이 대부분 수입품에 대한 가격을 올려 소비자들에 전가하게 되고 물가를 흔들리게 할 위험이 생기게 된다

관세를 피하고 미국수출을 지속하기 위해 멕시코가 이민행렬들을 미국국경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철저히 막는다면 미국은 관세카드로 큰돈 들이지 않고 불법입국을 눈에 띠게 줄이는 성과를 거둘 수 있다

그러나 성과를 거두지 못해 멕시코와 캐나다산에 25%, 중국산에 60%이상, 한국 등 모든 나라들의 수입품 전체 3조달러 어치에 10%의 관세를 부과하게 되면 미국내 수입물가가 40%이상 급등 하게 되고 전체 물가가 1%이상 상승할 것으로 경제분석가들은 경고하고 있다

연준이 예상한 새해 PCE 물가가 2.5%인데 트럼프 관세 부과로 3.5%로 뛰어 오를 경우 기준금리를 인하하기는 커녕 다시 인상해야 하는 코너에 몰리게 된다

Related posts

*

*

Top